검색을 해보면 유튜브에 가끔 올라오는 듯 한데 시작 경로는 알지 못한 상태에서 발견을 했다.
이미지로 굿즈를 만들어주는 사이트인 스냅스로 그립톡을 만들어볼까 하다가 상단 메뉴에 다른 사이트가 있길래 하나하나 클릭해 보았다.
스냅스는 개인적인 굿즈를 만드는것에 가까워 보이고 오프린트미는 뭔가 조금 더 업체? 느낌이 있었다.
오라운드를 클릭하니 굿즈 판매하기라는 버튼이 있어 뭔가 레드버블과 비슷하다 생각이 들었다.
회원 가입은 역시 한국사이트 답게 네이버, 카카오톡 로그인을 지원했고 구글, 애플 로그인도 지원했다.
가입을 하면 대충 내 상점페이지를 꾸며야 한다.
그라운드 아이디와 이름 부분은 초기에 랜덤 생성이 되어있는데 수정이 필요하다. (숫자가 들어가 있는데 아이디에 숫자를 지원하지 않는다.)
커버 이미지는 16:5 비율 최적화지만 아무 사진이나 올려도 알아서 잘라서 삽입된다.
소개 부분은 대충 상점페이지 소개와 자신의 SNS 주소 등을 적으면 된다.
주소가 적혔다면 프로필 아래에 각 SNS링크 별 버튼이 활성화 된다.
다른 사람의 프로필일 경우 비활성화 된 버튼은 안보인다.
디자인 등록은 상품 만들기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열린다.
이미지 업로드 버튼을 통해 적절한 이미지를 넣었다면 아래와 같은 팝업이 나온다.
팝업의 확인 버튼을 누르면 굿즈별 디자인을 설정하는 창이 나오게 된다.
디자인 왼쪽에는 정보 입력 부분이 있는데 자동 번역을 체크해두면 한국어로 적은 이름, 설명, 태그 모두 영어, 일본어로 번역되어 세팅이 된다.
기본 수익 설정은 수익률 정도로 zazzle을 해봤다면 알겠지만 판매했을 때 내가 받는 로열티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이 값이 높으면 굿즈 가격도 높아진다.
디자인 스타일은 해당 디자인이 어떤 타입인지 고르는 것으로 2개까지 중복선택 가능하다고 한다. (페이지에서는 여러개 찍어도 그냥 됨.)
워터마크 설정을 해두면 이미지 도용 방지로 대충 구글에 이미지를 찾을 때 회색 글씨로 셔터*톡 등이 적힌것과 같이 보이게 된다.
레드버블 같은 경우 굿즈 카테고리가 나열되어 있는 반면 오라운드의 경우 AI추천, 추가 가능 두가지가 보인다.
AI 추천이 내 생각과는 다르기 때문에 추가 상품도 추가하는 일이 더 많을 것 같다.
굿즈의 종류는 레드버블에 비해서 적은 편이다.
판매 설정을 누르면 각 굿즈 카테고리 별 어떤 종류만 팔지 선택이 가능하고(폰케이스는 아이폰만 한다던지) 선택을 마친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디자인 편집을 할 수 있게 된다.
폰케이스나 몇몇 카테고리는 위 이미지 처럼 편집정보 복사가 가능해 이미지 세팅을 좀 더 편하게 해준다.(레드버블은 그냥 한번에 세팅해준다) 이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맨 첫 케이스만 편집이 되어있을 것이다.
이미지를 어느정도 편집하고 설정 저장을 누르면 동일 카테고리 내 동일 옵션 적용하기 버튼이 나온다.
카테고리 안에서 1개만 설정을 저장하는게 아니라 모든 종류별로 설정을 해줘야 하기 때문에 위 버튼은 거의 필수로 눌러야 한다.
이미지들을 세팅하고 등록하기를 누르면 로딩이 되면서 회색 화면이 되는데 등록 팝업이 나올때 까지 나가면 안된다.
확인 버튼을 누르면 내 상점 페이지로 이동하고 등록이 끝나게 된다.
이미지는 레드버블의 경우 가로형 이미지 위주로 굿즈가 세팅되어 있는 반면 오라운드의 경우 세로형 이미지 위주로 세팅 되어 있다. 그래서 가로형 이미지는 레드버블 - 세로형 이미지는 오라운드에 올리게 될 것 같다.
이미지 세팅 부분이 번거롭긴 한데 Zazzle처럼 티 1개, 후드 1개 이런 식으로 상품별로 등록하는것은 아니기 때문에 감수할만 하다.
수수료 부분도 조절이 불가능한 레드버블에 비해 Zazzle처럼 비율 조정이 가능한 것이 좋다. 물론 탐욕으로 수수료를 엄청 높게 세팅하려 하는 사람도 있지만 AI추천으로 수수료 비율이 나와 대충 그대로 하면 된다. (보통 20%로 나온다)
이미지는 보통 세로 이미지 세팅이 많은데 에코백, 파우치, 에어팟 케이스, 버즈 케이스는 가로 이미지 최적화가 되어 있다.
틴케이스, 카드의 경우 가로/세로 옵션이 있어 이미지 비율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다.
의류 같은 경우 편집정보 복사가 안되어서 불편한 면이 있다.
가로 이미지를 업로드 하면 액자류는 가로 형태로 바뀌어 보인다. 가로 이미지는 편집을 하지 않은 상태로는 폰케이스 제외 지장이 없어 폰케이스를 안판다면 가로 이미지도 나쁘지 않아보인다.
'부업기록 > 굿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5.04.06 (0) | 2025.04.06 |
---|---|
23.08.04 ~ 23.09.03 (0) | 2023.09.03 |
~23.08.03 (0) | 2023.08.03 |
Zazzle 시작 (0) | 2023.07.07 |
RedBubble 시작 (0) | 2023.07.07 |